문법 어휘구조
기본적인 문법과 어휘구조를 파악해보자
유니코드
- 자바스크립트는 유니코드 문자 집합을 사용해서 작성이 된다. 
- 유니코드에 관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 키워드,변수,이름,숫자 등 토큰들 사이에 공백을 무시한다. - 토큰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나눌 수 없는 최소 단위 
- 유니코드 문자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련의 6자리의 아스키 문자열 시퀀스를 정의가 되있고 대채를 하는 편이다. 
 
주석
- 특별히 정리를 할 이유가 없기에 넘어간다. 
리터럴
- 리터럴이란 프로그램에 직접 나타나는 데이터의 값을 의마하는 단어로 이해하고 넘어간다. 
식별자와 예약어
- camel case 방식으로 식별자(변수명)을 선언하며 사용하고 있다. 넘어간다. 
- 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몰랐을때 예약어를 입력하는 경우는 있어도 한번 알고나서 입력하는 바보는 없다. 
- 나머자는 거의 다른 언어에서도 쓰임직한 예약어들이 많았으나, debugger 는 console.log() 혹은 console.table() 를 대처해서 사용하고 있다. 
- 이 외에도 ECMAScript5 에서 사용은 하지 않지만 키워드로 지정되는 것도 존재한다. 다음버전을 위해 미리 기입해논 느낌이다. 
- 어짜피 세상이 좋아져서 쓰면 안되는 예약어는 이미 에디터 상에서 걸러진다. 
선택자와 세미콜론
- 세상 멍청한 자가 아니라면 이런 식으로 입력하지 않겠지만, 한번 짚고 넘어가본다. 
- var y = 1; // 이외같이 겹쳐있는 경우 줄 바꿈을 세미콜론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주의한다. x ++ y console.log(x); // 1 console.log(y); // 2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