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셉 모델링

컨셉 모델링의 여러 기법

  • 몰입하기

    • 사용자의 입장에서 답변하며 아이디어를 고도화 하는 단계

    • Journey Map

      • 핵심적인 경험점을 여정 기반으로 정리

    • Story Board

      • 사용자의 사용 상황을 구체적으로 구상

  • 정리하기

    • Affinity diagram

      • 파편적인 정보를 정리하고 그룹화

  • 구조화하기

    • Group sketch

      • UI 환경에 대한 그룹적 차원에서의 발상

    • Experience prototyping

      • 해보는 것이 이해하는 것

각 방법론의 개요 및 수행방법

  • Journey Map

    • 개요

      • 프로젝트의 목표로 향해가는 페르소나의 여정을 시각화하여 전체적인 조망을 하는 도구

      • 한 명의 페르소나를 설정하며 서비스를 가장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강하고 또렷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핵심 인물로 구성

      • 전체적인 시야, 페르소나(행동, 생각), 페인포인트, 기회 요인, 기회를 둘러싼 역활과 책임을 텍스트 형태로 정리

    • 구성

      • The lens

        • 관점의 제한 누구의 무엇에 관한 내용인가

        • 종류

          • scenario

            • 실제 상황, 예상 모두 가능하나 사용자의 니즈 목표를 포함하도록 작성

          • goals & expectations

            • 적혀진 시나리오대로 사용자가 여정 내 기대할 요소 정리

      • The experience

        • 경험의 시각화 여정의 단계별 정의, 행동, 생각, 감정 등으로 구성

        • 종류

          • phases of the journey

            • 다음 두가지 요소를 여정의 흐름대로 표현해보자

              • 사용자의 행동 : 모든 요소를 기입하는 방향보다 여정의 단계별로 진행흐름을 간략히 서술

              • 생각, 감정 : 사용자의 생각, 의문, 동기가 드러나도록 일반적인 말투로 전달, 곡선 그래프로 감정을 표현해보는것도 좋은편

      • The insight

        • 서비스와의 접점, 사용자의 고충, 그 안에서 발견하는 기회, 내부적인 할 일

        • 종류

          • touch point

            • 사용자가 서비스 전반에 걸쳐 일관된 경험을 제공받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

          • pain point

            • 사용자의 고충을 확인하는 지표

          • opportunity

            • 사용자와 시나리오를 충분히 맵핑해본 후 진행되는 단계로 여장 안에서 얻는 기회를 통찰하려 서술

          • internal ownership

            • 기회로 꼽힌 내요을 누가 어떻게 담당해서 여정을 더 사용자 중심적으로 만들것 인지 작성하는 공간

  • Story Board

    • 개요

      • 일반적으로 Journey map 보다 쉽게 이해가 되는 톤앤 매너를 소유

      • 시나리오 단계와 과정을 이미지로 전달하는 도구

      • 구체적인 이미지, 특정 장면 중심, 이해하기 쉬운 도구, 스토리의 공감대를 숏컷 형태로 제공

      • Journey map의 여정 단계중 좀더 구체화 하고싶은 단계를 꼽아서 활용하기도 함

    • 구성

      • 이미지와 캡션을 통해서 시각화

  • Affinity diagram

    • 개요

      • 60년대 민족학자 Jiro Kawakita가 정성적 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고안

      • 많은 양의 아이디어와 데이터들을 관련있는 것끼리 그룹으로 분류하는 방법론

      • 상, 하위 카테고리를 잘 정의해야 컨셉을 정의하는데 핵심 역활로 쓰인다

    • 준비가 되어야 하는것

      • 프로젝트의 목표 해결해야하는 이슈의 정의

      • Top-level categories 최상위 개념의 카테고리

      • 포스트잇에 적힌 상태의 모든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아이디어, 인사이트 등

        • 종류는 포스트잇 색으로 구분

    • 만들고자 하는것

      • 팀원들간의 프로젝트 이해도 및 관점의 공유

      • Sub-categories 하위 카테고리

      • 우선 순위, 아이디어로 사용할 확실한 내용

    • 예시

      • 타깃 사용자 : 20대 금융을 모르는 초년생

      • 목표 : 특징 없은 은행의 모습에서 적극적인 앱 서비스로 변화하기

      • 과정

        • 포스트 잇으로 What if의 과정을 수행하여 색깔 등으로 정리하며 정리

        • 포스트 잇 내용이 복잡하다면 좀 더 단순화 하여 표현하도록 유도

        • 중복이 되는 내용은 하나로 표현

        • 별도의 아이데이션을 통한 산출물 혹은 아이디어는 별도로 구성하고 미리 분류하지 말고 전부 적어 놓기만 한다

        • 상하위 카테고리 정리 예시

          • 사용자

            • 니즈

            • 페인포인트

          • 고객 파트너사

            • 비전

            • 현황

          • 시장 흐름

            • 타사, 유사, 경쟁사 서비스

            • 타깃 사용자의 특성

        • 정리된 상위 카테고리에서 하나의 문장으로 관통되도록 서브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것이 목표

        • 이 문장이 산출물의 결을 결정하는 UX Concept로 이어져서 산출물과 관련된 아이디어를 목업하는데 활용

        • 하위 카테고리가 한 문장으로 정리가 안되는 경우에는 이미지로 도식화 해보면서 접근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

        • 정리가 다 되었으면 상,하위 카테고리를 함께 연관지어 생각해보면서 정리가 잘 되었는지 점검하여 UX Concept을 정한다

        • 결과물의 키워드화 하면서 최종적인 컨셉을 단어로 표현

  • Group sketch & Experience prototyping

    • 위 그림과 같이 참여 인원들이 다같이 생각 할 수 있는 지표(ex) 정해진 UX Concept에서 점진적인 목표로 도식화) 를 만들어서 함께 생각하며 개선점을 스케치하는 방식이다

    • 목표로 하는 서비스와 유사한 것을 이용해보면서 결과물로 정리하는 행위(ex) 그룹 스케치)

    • 위를 통해 목업 스케치 및 시나리오를 구성하는데 활용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