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셉 모델링
컨셉 모델링의 여러 기법
몰입하기
사용자의 입장에서 답변하며 아이디어를 고도화 하는 단계
Journey Map
핵심적인 경험점을 여정 기반으로 정리
Story Board
사용자의 사용 상황을 구체적으로 구상
정리하기
Affinity diagram
파편적인 정보를 정리하고 그룹화
구조화하기
Group sketch
UI 환경에 대한 그룹적 차원에서의 발상
Experience prototyping
해보는 것이 이해하는 것
각 방법론의 개요 및 수행방법
Journey Map
개요
프로젝트의 목표로 향해가는 페르소나의 여정을 시각화하여 전체적인 조망을 하는 도구
한 명의 페르소나를 설정하며 서비스를 가장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강하고 또렷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핵심 인물로 구성
전체적인 시야, 페르소나(행동, 생각), 페인포인트, 기회 요인, 기회를 둘러싼 역활과 책임을 텍스트 형태로 정리
구성
The lens
관점의 제한 누구의 무엇에 관한 내용인가
종류
scenario
실제 상황, 예상 모두 가능하나 사용자의 니즈 목표를 포함하도록 작성
goals & expectations
적혀진 시나리오대로 사용자가 여정 내 기대할 요소 정리
The experience
경험의 시각화 여정의 단계별 정의, 행동, 생각, 감정 등으로 구성
종류
phases of the journey
다음 두가지 요소를 여정의 흐름대로 표현해보자
사용자의 행동 : 모든 요소를 기입하는 방향보다 여정의 단계별로 진행흐름을 간략히 서술
생각, 감정 : 사용자의 생각, 의문, 동기가 드러나도록 일반적인 말투로 전달, 곡선 그래프로 감정을 표현해보는것도 좋은편
The insight
서비스와의 접점, 사용자의 고충, 그 안에서 발견하는 기회, 내부적인 할 일
종류
touch point
사용자가 서비스 전반에 걸쳐 일관된 경험을 제공받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
pain point
사용자의 고충을 확인하는 지표
opportunity
사용자와 시나리오를 충분히 맵핑해본 후 진행되는 단계로 여장 안에서 얻는 기회를 통찰하려 서술
internal ownership
Story Board
개요
일반적으로 Journey map 보다 쉽게 이해가 되는 톤앤 매너를 소유
시나리오 단계와 과정을 이미지로 전달하는 도구
구체적인 이미지, 특정 장면 중심, 이해하기 쉬운 도구, 스토리의 공감대를 숏컷 형태로 제공
Journey map의 여정 단계중 좀더 구체화 하고싶은 단계를 꼽아서 활용하기도 함
구성
이미지와 캡션을 통해서 시각화
Affinity diagram
개요
60년대 민족학자 Jiro Kawakita가 정성적 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고안
많은 양의 아이디어와 데이터들을 관련있는 것끼리 그룹으로 분류하는 방법론
상, 하위 카테고리를 잘 정의해야 컨셉을 정의하는데 핵심 역활로 쓰인다
준비가 되어야 하는것
프로젝트의 목표 해결해야하는 이슈의 정의
Top-level categories 최상위 개념의 카테고리
포스트잇에 적힌 상태의 모든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아이디어, 인사이트 등
종류는 포스트잇 색으로 구분
만들고자 하는것
팀원들간의 프로젝트 이해도 및 관점의 공유
Sub-categories 하위 카테고리
우선 순위, 아이디어로 사용할 확실한 내용
예시
타깃 사용자 : 20대 금융을 모르는 초년생
목표 : 특징 없은 은행의 모습에서 적극적인 앱 서비스로 변화하기
과정
포스트 잇으로 What if의 과정을 수행하여 색깔 등으로 정리하며 정리
포스트 잇 내용이 복잡하다면 좀 더 단순화 하여 표현하도록 유도
중복이 되는 내용은 하나로 표현
별도의 아이데이션을 통한 산출물 혹은 아이디어는 별도로 구성하고 미리 분류하지 말고 전부 적어 놓기만 한다
상하위 카테고리 정리 예시
사용자
니즈
페인포인트
고객 파트너사
비전
현황
시장 흐름
타사, 유사, 경쟁사 서비스
타깃 사용자의 특성
정리된 상위 카테고리에서 하나의 문장으로 관통되도록 서브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것이 목표
이 문장이 산출물의 결을 결정하는 UX Concept로 이어져서 산출물과 관련된 아이디어를 목업하는데 활용
하위 카테고리가 한 문장으로 정리가 안되는 경우에는 이미지로 도식화 해보면서 접근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
정리가 다 되었으면 상,하위 카테고리를 함께 연관지어 생각해보면서 정리가 잘 되었는지 점검하여 UX Concept을 정한다
결과물의 키워드화 하면서 최종적인 컨셉을 단어로 표현
Group sketch & Experience prototyping
위 그림과 같이 참여 인원들이 다같이 생각 할 수 있는 지표(ex) 정해진 UX Concept에서 점진적인 목표로 도식화) 를 만들어서 함께 생각하며 개선점을 스케치하는 방식이다
목표로 하는 서비스와 유사한 것을 이용해보면서 결과물로 정리하는 행위(ex) 그룹 스케치)
위를 통해 목업 스케치 및 시나리오를 구성하는데 활용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