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탈 모델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개요
자기 자신, 다른 사람, 환경, 자신이 상호작용하는 사물들에 대해 갖는 모형
본인의 배경(지식, 배경, 문화 등)을 통해서 제품을 인식하는 방식
전체자료 :
공통적인 배경이 없는 상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벌어지는 일
좋아요 기능을 하트 대신 톱니바퀴로?
서비스에 학습비용이 발생하므로 서비스 이탈 우려가 존재
사용자의 멘탈모델 이해하기
사용자의 멘탈 모델들을 이해하려면 하나의 모델로 공통화하는 과정이 필요
유저의 데이터를 활용해서 유저 컨텍스트를 추출해 공통 분모를 만
행동, 성향 등
사용자의 관점에서 전체 경험을 생각하기 유용
단계
행동기반 사용자 그룹 분류
브레인 스토밍으로 추출
인터뷰 준비 및 진행
전 단계의 요소를 통해서 인터뷰
혹은 모든 리서치 요소를 활용 가능
행동 추출하기
사용자를 그룹화 하여 행동 추출
행동 패턴찾기
행들을 패턴별로 분류
콘텐츠 배치
이렇게 배치된 요소들에게 현재 우리가 서비스를 해주는 기능이 있다면 배치
예정된 새로운 기능도 배치가 가능
인사이트 도출
아이디어를 도출
진행방식
사용자 데이터를 모으는 단계
행동 데이터 분류 및 패턴
순서는 상황에 따라 역순으로도 진행
사용자 여정 설정
사용자 여정에 따른 분류
행동에 따른 분류
사용자 그룹 및 중요도 분류
사용자 세그먼트 표시
행동에 관련된 사용자들을 정의해서 일종의 표기방법을 만들어 요소에 배치
중요도 표시
인사이트 아이디어 도출
인사이트
사용자의 행동 양식과 가치관을 파악하는 단계
효율 중시 카테고리를 예시로 파악해보기
배차간격이 넓으면 무조건 택시를 이용한다
시간을 아끼기 위해 전동 킥보드를 활용한다.
“배차간격이 넓고”, “시간을 아끼기 위해”를 통해 빠른 이동 키워드 추출
이를 위해서 “택시”, “킥보드” 등을 활용하는 추가 지불 키워드 추출
이렇게 해서 빠른 이동을 위해 추가 지불을 한다는 인사이트 획득
아이데이션
효율 중시 카테고리를 예시로 파악해보기
실무 자료 :